Overview : 나래비의 뜻을 알아보자
예) 그걸 먹으러 온 사람들이 쭉 나래비를 서 있다
일본어 나라비(ならび)에서 온 말
사투리가 아니라 한국에 토착된 일본 외래어
We use cookies to help you navigate efficiently and perform certain functions. You will fi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all cookies under each consent category below.
The cookies that are categorized as "Necessary" are stored on your browser as they are essential for enabling the basic functionalities of the site. ...
Necessary cookies are required to enable the basic features of this site, such as providing secure log-in or adjusting your consent preferences. These cookies do not store any personally identifiable data.
Functional cookies help perform certain functionalities like sharing the content of the website on social media platforms, collecting feedback, and other third-party features.
Analytical cookies are used to understand how visitors interact with the website. These cookies help provide information on metrics such as the number of visitors, bounce rate, traffic source, etc.
Performance cookies are us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key performance indexes of the website which helps in delivering a better user experience for the visitors.
Advertisement cookies are used to provide visitors with customized advertisements based on the pages you visited previously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ad campaigns.
예) 그걸 먹으러 온 사람들이 쭉 나래비를 서 있다
일본어 나라비(ならび)에서 온 말
사투리가 아니라 한국에 토착된 일본 외래어
굼굼-다 의 현대어
무엇이 알고 싶어 마음이 몹시 답답하고 안타깝다.
Curious라는 단어의 어원은 라틴어 curiosu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단어는 신중한 또는 “주의 깊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그 뿌리는 cura라는 단어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걱정 또는 돌봄을 의미합니다.
중세 라틴어로 넘어가면서 curiosus는 호기심이 많은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고, 이후 14세기경 프랑스어를 통해 영어에 들어와 curious라는 형태로 자리잡았습니다. 처음에는 호기심이 많은 혹은 알고 싶어하는 의미로 쓰였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더 넓은 의미로 발전해 현재 우리가 아는 궁금해하는 또는 이상하거나 흥미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바’는 ‘앞에서 말한 내용 그 자체나 일 따위를 나타내는 말’을 의미하는 의존 명사 ‘바’입니다. 따라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말씀드린 바/설명한 바와 같이/설명한 바’처럼 띄어 씁니다.
‘-는대도’는 ‘-는다고 해도’를 줄여 쓴 것입니다.
반면 ‘-는데도’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인 ‘-는데’에 보조사 ‘도’가 결합한 구성입니다.
‘저녁에 먹는대도’, ‘안 한대도’는 ‘저녁에 먹는다고 해도’, ‘안 한다고 해도’를 줄여 쓴 구성이므로 이와 같이 쓰는 것이 바르며,
나머지는 모두 어미 ‘-는데’를 쓰는 구성이므로 ‘-는데도’를 쓰는 것이 바릅니다.
참조 : https://m.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37586&pageIndex=1
1.뵈다. -> 보이다
뇌(腦)와 오피셜(Official, 공식 입장)의 합성어로, 자기 혼자만의 생각을 공식적으로 검증된 사실인 것처럼 주장하는 행위 또는 그러한 주장을 뜻한다. ‘본인 뇌 속에서만 오피셜인 생각’이라 해석할 수도 있다.
‘헷갈리다’와 ‘헛갈리다’는 동의어입니다.
‘정신이 혼란스럽게 되다.’ 또는 ‘여러 가지가 뒤섞여 갈피를 잡지 못하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헷갈리다’와 ‘헛갈리다’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낱낱의 곳을 세는 단위.낱낱의 장소를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
2 군데가 틀렸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여러 군데 보입니다.
‘달걀’과 ‘계란’은 모두 “닭이 낳은 알”이라는 뜻의 어휘입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달걀’은 순우리말이고, ‘계란(鷄卵)’은 한자어입니다. ‘계란’은 ‘달걀’로 순화한 바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데
1. ‘곳’이나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예) 지금 가는 데가 어디야?
예) 의지할 데 없는 신세
예) 그가 사는 데는 여기서 멀다.
~결혼한데”는 “~결혼한다더라 : 직접 경험한거
~결혼한대”는 “~결혼한다고해 : 간접 경험한거
어 를 붙어 말이 되면
안되지/안돼지 둘다사용가능
가야 돼 // 띄여쓰기 하면 돼가 맞음
잘되다 O
잘됐다 O
어를 넣어 말이되면 => 돼
ㄴ다 일때는 => 된다.
안 되다.
안 되어요 (안돼요 O)
돼게 X (되어게)
돼어 X (되어어)
안 돼요 O (안 되어요) (띄여쓰기)
소환돼도 O (소환되어도)
도찐개찐’은 방언(方言·사투리)으로 표준어는 ‘도긴개긴’
윷판에서 말이 한 칸을 이동하면 ‘도’, 두 칸을 이동하면 ‘개’라고 하고,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긴’이라고 해요. 따라서 ‘도긴개긴’은 도긴(한 끗 차이)과 개긴(두 칸 차이)을 붙여 한 낱말로 인정한 것으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는 모양새가 별 차이가 없다’는 뜻
가난한 총각이 우렁이 속에서 나온 여자와 금기를 어기면서 혼인했으나 관원의 탈취로 파탄이 생겼다는 내용의 설화에 나옴
가난한 노총각이 밭에서 일을 하다가 “이 농사를 지어 누구랑 먹고살고?” 하자,
어디선가 “나랑 먹고살지, 누구랑 먹고살아.” 하는 소리가 들려 왔다.
총각이 소리가 나는 곳을 찾아가 보니, 우렁이 하나가 나왔다.
우렁이를 집에 가져와 물독 속에 넣어 두었는데, 그 뒤부터는 매일 들에 갔다 오면 밥상이 차려져 있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총각이 하루는 숨어서 살펴보았더니, 우렁이 속에서 예쁜 처녀가 나와서 밥을 지어 놓고는 도로 들어갔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우렁이각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