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stock

한국가스공사

도시가스 요금이 1월 1일 부터 평균 5.8% 인상된다.

작년 인상 2월(4.4%) 8월(0.5%)에 이어 연 세 번째다.
한진현 산업부 제2차관은 브리핑을 통해 “원전 가동정지 등으로 가스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동절기 스팟 구매 증가 및 기존 계약 물량의 가격 조정으로 도입원료비가 상승해 가격인상이 불가피했다” 고 설명했다.

진실

이창목 연구원은 “지난 16일 한국가스공사는 올 연간 영업실적 전망치 정정 공시를 통해 올해 순이익이 기존 2993억원에서 3422억원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며 “이는 주로 3분기 결산실적 반영 및 캐나다 혼리버 가스광구에서 발생한 3800억원 규모 손상차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08~2012년 에너지 공기업들의 해외자원개발 관련 총 누적 투자액은 264억달러(27조9523억원)로, 이 가운데 석유공사(59%), 가스공사(23%), 광물공사(9%) 등 3사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수십조원를 쏟아부었지만 제대로 된 수익을 못내고 자산가치도 하락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란 비판이 정치권에서 쏟아지고 있다.

3사에 한국전력과 발전5사를 포함하면 MB정부 초기인 2008년부터 올 6월까지 해외자원개발 사업 관련 총 손실액만 2조8000억원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가스공사 투자 미회수분(4조2000억원)과 석유공사 추가 투입 재원(6조5000억원) 등 10조원 이상의 추가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이진복 새누리당 의원이 가스공사로부터 제출 받아 24일 공개한 ‘2013년 상반기 해외투자사업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MB 정권 5년간 추진한 해외자원개발 사업으로 2013~2015년 9조8000억원을 투자해 5조6000억원이 회수될 것으로 분석됐다. 2015년까지 4조2000억원 가량의 손실이 불가피한 셈이다.

하나더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지난 3년간 금융 파생상품 거래로 600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파생상품 거래손실 규모는 지난해 1~3분기 1937억909만원, 지난 2011년과 2012년 각각 1763억8478만원, 2217억9815만원에 달했다.

FA50은 국산일까

흔히 BVR능력을 확보한 공대공 무장 탑재형을 블록 20이라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 당초 한국 공군은 ‘수명 연장’, ‘임무 반경 확장’, ‘조종 관련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한 개량을 KAI에 요청해서 연구가 진행 중이었다.[19] 여기에 KAI 자체적으로 수출 시의 상품성 확보를 위해 레이더의 변경과 BVR능력 확보 등을 골자로 한 업그레이드 계획을 제안 했지만 한국공군은 이를 거부하고 있었다.#[20]

따라서, 흔히 알려진 공대공 무장 탑재형인 ‘해외 판매용 블록 20’은 말레이시아에 수출을 추진하면서 상세 계획이 세워지고, F-16을 운용하는 폴란드[21]에서 FA-50을 대량으로 도입하면서 업그레이드가 확정이 되었다.

블록 20형을 원하는 국가는 다수 있으나, 원계획 대로 KF-21용 AESA 레이더의 실용화와 축소형 탑재를 기다리기에는 너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해외 판매용 블록 20에는 미국제 AESA 레이더를 탑재할 계획으로 알려지고 있다.

2022년 현재 레이시온과 노스롭 그루먼이 경합중인데 레이시온에서는 팬텀스트라이크(PhantomStirke)로 명명된 신형 공랭식 AESA 레이더를, 노스롭 그루먼은 기존의 AN/APG-83(구 SABR) 레이더를 제안중이라고 한다. 국내 언론의 관련 보도나 해외 군사전문매체들에선 팬텀스트라이크의 선정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데, SABR는 원래 F-16용으로 만들어진 물건이라 출력이 높긴 하지만 FA-50 같은 경공격기에 싣기에는 아직 조금 큰 편이고[22]. 전력공급 문제도 있어서 한번 더 다운사이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2025년부터는 납품해야 할 FA-50에 쓰기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반대로 팬텀스트라이크는 처음부터 경전투기/경공격기/헬리콥터/무인기를 목표로 해서 45kg이라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져 FA-50은 물론 F-5나 미라주 시리즈(경량형 기체들인 데다 노즈콘이 좁고 긴 편이라 큰 레이더 탑재가 힘들다)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고 홍보 중인 만큼 바로 통합이 가능하기에 이렇게 예측하고 있다. 레이시온도 정식 계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공개 홍보 영상에서 팬텀스트라이크 탑재형 FA-50을 등장시킬 정도로 판촉에 적극적이다. 이후 레이시온의 팬텀스트라이크가 유력하다는 소식이 흘러나왔다.#

‘유통 공룡’ 아마존, 내년초 한국 진출

지난 5월 한국법인 설립 후 유통 등 본격 진출할듯
일본 진출 성공해 자신감..해외직구 급증 추세 도화선
시장 확대 노리는 아마존..유통산업 ‘지각변동’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의 한국 진출 소식에 업종별로 주가가 출렁였다. 온라인쇼핑주는 ‘덜컹’ 내려앉았다가 다시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인터넷결제주와 클라우드 컴퓨팅주는 일제히 상승했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아마존은 지난 5월 한국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이르면 내년 초 한국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1995년 온라인 서점으로 문을 연 아마존은 꾸준한 사업 확장을 통해 현재 세계 최대 종합 온라인 쇼핑몰로 발전했다.

국내 대표 온라인 쇼핑몰인 인터파크는 아마존 진출 소식이 전해진 지난 26일 5% 넘게 하락했다. 아마존의 시장 잠식 우려가 번졌기 때문이다.

업계는 세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의 진출에 따라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의 경쟁이 어느 정도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아마존의 온라인 쇼핑 거래 총액은 9조원 이상으로 한국 온라인 거래 총액의 28.5% 정도 규모다.

또 해외 사이트 직접 구매를 즐기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아마존의 가격 경쟁력과 직배송 서비스 등이 충분한 매력을 가질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날 온라인 쇼핑몰 ‘현대H몰’을 운영중인 현대홈쇼핑은 2.92% 하락했고, 오픈마켓 ‘샵N’을 운영하고 있는 NAVER도 2.72% 빠졌다.

그러나 아마존 진출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오자 이들 주가는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양상이다.

이선애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오픈 마켓에서는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들의 충성도가 비교적 낮고, 포털사이트의 가격 비교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아마존이 미국에서의 거대한 영향력을 한국 시장에 행사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인터파크의 경우 수익의 대부분이 쇼핑몰과 도서가 아닌 투어와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발생한다”며 아마존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분석이 나오자 인터파크 주가는 하루만에 반등했다. 지난 27일 인터파크는 전날보다 2.33% 상승한 1만1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네이버와 현대홈쇼핑 역시 각각 전날보다 2.80%, 1.09% 올라 상승 마감했다.

반면 인터넷결제주와 클라우드 컴퓨팅주는 아마존 진출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인터넷결제주는 지난 27일 일제히 환호했다. KG모빌리언스(7.58%), 한국사이버결제(7.90%), KG이니시스(2.15%), 다날(4.20%) 등이 급등했다. 국내 클라우드 산업 성장 기대감에 클라우드 컴퓨팅주도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더존비즈온 (4.21%), KT 계열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KTH(3.49%), 모바일리더(1.32%) 등 클라우드 컴퓨팅주가 강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아마존의 AWS(Amazon Web Service)가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을 촉진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AWS는 아마존의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분석서비스다.

이선애 연구원은 “국내 클라우드 산업은 아직 초기 국면이지만 클라우드 서버와 인프라에 관한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클라우드와 빅데이터와 관련해 세계적으로 선두권에 오른 아마존이 한국에 서비스를 시작한다면 국내 업체들의 가격 경쟁을 유도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아마존 앱스토어와 전자책 하드웨어 킨들은 정체돼 있는 국내 전자책 콘텐츠에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전자책 콘텐츠 수요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예스24는 지난 26일 1.53% 상승 마감했다.

다음

SK컴즈(066270)가 네이트 검색부문을 결국 다음(035720)으로 이관한다. SK컴즈의 사업구조 개편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7일 인터넷업계에 따르면 SK컴즈는 다음과 검색엔진 관련 업무제휴 최종 조율단계를 진행 중이며, 다음 주 중으로 검색부문을 완전히 이관하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SK컴즈는 지난해 11월말 경영부진의 책임을 지고 실본부장급 이상 전원이 사표를 내고, 지난달 구조조정을 실행했으며 강도높은 사업구조 개편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SK컴즈는 홈페이지 검색 등록 등 검색엔진 관련 신규 업무를 중단한 상태다.

요재무지표 분기 연간
2012/12 2013/03 2013/06 2013/09 2009 2010 2011 2012
IFRS
연결
IFRS
연결
IFRS
연결
IFRS
연결
GAAP
개별
GAAP
개별
IFRS
연결
IFRS
연결
매출액(억원) 1,171 1,248 1,325 1,297 2,445 3,455 4,212 4,533
영업이익(억원) 219 225 238 202 445 979 1,167 1,017
당기순이익(억원) 138 193 175 236 310 1,117 1,079 766
EPS(원) 1,001 1,430 1,300 1,723 2,397 8,448 8,079 5,656
ROE(%) 2.65 3.72 3.31 4.34 16.20 39.84 26.86 15.70
부채비율(%) 17.68 22.76 18.3 18.78 42 26 22.46 17.68
주당배당금(원) 1,110 749 1,607 1,110

인터파크

회사 연혁
일 자 내 용
2012.09 (주)INTERPARK International (HK) Ltd. 출자
2011.12 (주)아이마켓코리아 인수
2011.11 한남동 블루스퀘어 공연장 개관
2011.03 직영소호몰 ‘OSSY’ 오픈
2011.01 (주)디지아트 프로덕션 인수
2010.06 Culture SNS Banni 오픈 : www.banni.kr
2009.01 IT자산 양도((주)인터파크INT)
2008.09 흡수 합병 : Interpark Communications의 Interpark America, INC.(계열회
2008.07 흡수 합병 : (주)인터파크ENT
2008.05 대표이사 변경 : 이기형
2007.07 인터파크 마트 사업부문 양도((주)인터파크쇼핑)
2007.05 DCM TalkBean 서비스 오픈
2006.12 인터파크 마트 사업부문 오픈
2006.12 인터파크 4개사업부문 물적분할 : (주)인터파크쇼핑,(주)인터파크도서,(주)
2006.04 인터파크 재구축시스템(MILTI) 오픈
2006.02 – 자산투자신탁)
2006.02 인터파크 공연관련전문 투자 펀드 설립(골든브릿지인터파크공연전시특별 –
2005.12 인터파크 중고차경매 서비스 오픈
2005.10 인터파크 티켓전용 오픈마켓’프린지’오픈
2005.06 인터파크 게임 오픈
2005.06 인터파크 아름다운가게(중고거래 장터) 오픈
2005.03 대표이사 변경 : 이상규, 이기형(각자)
2004.10 오픈마켓(미니샵) 오픈
2004.06 인터파크 사이트 전면 개편
2004.03 인터파크 New CI 선포
2004.02 온라인 최초 KTF 휴대폰 대리점 오픈
2004.01 본사 이전 : 서울 서초구 서초동 1304-3 남서울빌딩
2003.09 인터파크 쇼핑지식검색 서비스 오픈, 게임 무료배송 서비스 오픈
2003.08 화장품 무료배송 서비스 오픈
2003.06 도서 무료배송 서비스 오픈
2003.04 2003 월드피스킹컵대회 입장권 공식판매대행사 선정
2003.03 티켓유료회원서비스 오픈 : tiki(티키)
2003.01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입장권 공식판매대행사 선정
2002.11 인터파크무비 오픈, PDA전용 쇼핑몰 오픈
2002.08 KTF K-Merce 유무선쇼핑몰 운영 대행
2002.03 본사 이전 : 서울시 중구 을지로2가 185 동양종합금융증권빌딩 6층
2001.12 국가고객만족도 1위 인터넷 쇼핑몰 선정(한국생산성 본부)
2001.12 개인정보보호 우수 사이트 선정(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2001.09 eCRM, Mobile Solution등과 관련한 장비 및 권리일체 양도
2001.09 홈페이지 완전 개편 및 오픈
2001.08 인터넷 쌍방향 동영상 쇼핑서비스 오픈
2001.07 컨텐츠 몰 오픈, 쇼비즈펀드 영업부문 양수
2001.06 2002 한일월드컵 사이트 오픈 : http://worldcup.joins.com
2001.06 2002 월드컵 사업 조인(인터파크/iMBC/조인스닷컴)
2001.05 AutionPark 오픈
2001.03 AUTO PARK 오픈, KIDS PARK 오픈, MRO B2B코너 오픈
2000.07 CD파크 오픈
2000.06 B2B 시스템(빌더스넷) 개발
2000.05 다자간 양방향 상품거래 시스템(구스닥) 개발
2000.01 본사 이전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79-4 로담코타원 14층
1999.12 인터넷 여행사 오픈 : 투어파크
1999.07 코스닥 등록
1999.07 문화유통사업실 산하에 직영점 설치
1999.06 본사 이전 :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8-9 동성빌딩 5층
1999.05 전자상거래 시스템 오픈 : 우체국
1999.05 정보대국 기반구축 시범사업 오픈 : www.multi2000.co.kr
1999.04 상호 변경 : (주)인터파크
1999.04 EC포털서비스 쇼핑게이트웨이 서비스 오픈
1999.04 하나로통신 사이버고객센터 개발
1999.03 인터넷 서점 오픈 : 북파크
1999.02 인터넷 종합예약서비스 (티켓파크)유료회원제 실시
1999.01 기술경쟁력우수기업 선정(중소기업청)
1999.01 유망 중소 정보통신 기업 선정(정보통신부)
1999.01 우체국 전자상거래 시범 시스템 구축 사업자 선정(정보통신부)
1998.12 전자상거래 Total Solution 서비스 오픈
1998.12 인터넷 쇼핑몰 구축 Package 개발
1998.11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로 선정(정부출연금 2억원)
1998.10 머천트 서버 패키지 S/W ‘Commerce21’출시
1998.09 ‘실시간 고객데이터를 이용한 사이버 스토아 통합관리 시스템’개발 산학
1998.09 공동기술개발사업 98정부출연과제로 선정,연세대학교와 공동 수행
1998.06 엑스트라넷을 이용한 도서,음반 전자 유통 시스템개발 사업자 선정(정보화
1998.04 본사 이전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06-25
1998.04 인터넷 종합 예약시스템 서비스 오픈 : TicketPark
1998.02 본사 이전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1-29
1997.10 데이콤 인터파크(주) 창립총회 및 이사회 개최
1997.09 EC Hosting Serice(Mall&Service)개시
1997.08 엘지유통, 서울문고, 3M매장 오픈
1997.06 컴퓨터 전문상점 Open,소프트 비젼 매장 오픈
1997.05 사이버 마켓 IT제공사업 위주로 전환
1997.04 인터넷 서적 전문 상점 Open(서울문고 제휴)
1997.02 영문 Shoppoing Mall Open
1996.12 차세대 쇼핑몰 서비스 개발
1996.09 상용 서비스 개시(상품유통위주의 사업추진)
1996.06 국내최초인터넷 쇼핑몰 Open : WWW.interpark.com
1996.06 국내 최초로 사이버쇼핑몰 운영
1995.11 (주)데이콤의 소사장제로 인터파크 출범(분사 이전)

레드로버

시가총액 1000억
주가 반영은 The Nut Job 흥행에 따라 변수가 많음.
실패시 하한가/ 성공시 상한가
간큰 사람만 도전하시오.

개봉은 했으나 고만고만 하네요.
미국 아이들 재미 없다는 반응도 있고요.
상황보고 안전한 길 택하길

쎌바이오텍

20,100

신약보다 보조제 개발회사인 것 같음
과대 포장된 회사, 적자가능성은 없음

주요재무지표 분기 연간
2012/12 2013/03 2013/06 2013/09 2009 2010 2011 2012
IFRS
별도
IFRS
연결
IFRS
연결
IFRS
연결
GAAP
개별
GAAP
개별
IFRS
연결
IFRS
연결
매출액(억원) 60 62 79 73 158 182 233 258
영업이익(억원) 7 6 26 24 46 52 57 65
당기순이익(억원) 11 6 22 18 42 50 52 61
EPS(원) 117 71 243 202 454 536 553 653
ROE(%) 3.12 1.83 6.16 4.84 18.87 18.80 18.03
부채비율(%) 9.66 9.64 9.53 10.28 11 12 15.68 10.66
주당배당금(원) 150 100 150 150 150

 

일 자 내 용
2012.01 해외자회사 “Cell Biotech International A/S” 설립
2011.04 KRX 프리히든챔피언 선정
2010.09 히든챔피언 최종 선정(한국수출입은행)
2009.11 아토피피부염, 골다공증치료제, IBS 임상시험
2007.12 ‘유산균 분말’현재 일류상품 선정(산자부)
2007.10 연구동 준공
2007.05 GS경영대상 기술경영부문 최우수기업 선정(한국능률협회)
2007.05 여드름 치료에 있어서 락토패드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 완료
2006.12 유산균 전문의약품 제조기술 개발사업 수행
2006.12 산업자원부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 지정
2006.12 유산균을 이용한 콜레스테롤 감소 및 면역 중긍제 개발,동물 임상
2006.09 통신판매업 사업 영위(인터넷 쇼핑몰 운영)
2006.09 여드름치료제개발 임삼실험착수(강남성모병원)
2006.08 조류독감치료제개발 조류인풀루엔자 임상실험완료(건국대학교)
2006.06 해외합작투자법인 ‘쎌바이오텍 유럽'(덴마크)설립

롯데그룹 오픈마켓 진출

롯데그룹이 2015년 ‘온라인마켓플레이스(이하 오픈마켓)’ 시장에 진출한다.

G마켓이나 옥션, 11번가, 인터파크 등이 롯데그룹이 넘어야할 경쟁상대

특별한 제한이 없어 누구나 판매자와 거래자가 돼 거래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다. 판매자끼리 경쟁하고 오픈마켓 운영업체는 이들로부터 판매 수수료를 받는 구조다. 판매자 제한은 물론 제품 종류와 품질, 가격 등을 운영업체가 직접 관리하는 대형유통업체의 종합온라인쇼핑몰과는 다른 개념의 온라인 마켓이다.

신세계 그룹 e통합몰: 2014 1월
신세계그룹은 내부적으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사이트 오픈 준비에 한창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온라인 개발 인력이 많지 않은 탓에 사이트에 큰 변화를 주는 것보다 사이트 통합에 초점을 두고 있다.

테스

삼성전자는 3D 낸드 양산을 통해 낸드 산업에서 근본적인 혁신을 꾀하고 있다”며 투자 수혜주인 원익IPS(030530)와 테스(095610), 유진테크에 관심을 가질 것을 권고했다.

기관이 벌써 회쳐 먹었음.=> 개인보고 사라고 꼬시고 있음.
2만원 되기전에 팔 기세.

톱텍

14000원 싸다.

Overview : 삼성 눈에 박히면 골로 간다.

디스플레이 장비에서 배터리 장비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인 톱텍이 악재를 만났다. 삼성디스플레이 기술을 중국에 유출했다는 혐의와 관련해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던 톱텍 임직원이 2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방인복 톱텍 사업총괄은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기발광다이오드(OLED) 곡면 합착기는 스마트폰 플렉시블 OLED 패널에서 곡면 구현에 필요한 핵심 후공정 장비다. 장비는 톱텍이 만들었지만 제작 기획이나 핵심 설계, 구조 등은 삼성디스플레이가 건네거나 양사가 함께 개발했다.

이제껏 재판에서 톱텍의 OLED 곡면 합착기 고객사, 또는 잠재 고객사로 언급된 중국 패널 업체는 BOE와 CSOT, 비전옥스, 에버디스플레이 등이다. 톱텍이 중국 수출용으로 준비한 OLED 곡면 합착기는 모두 36대였다. 톱텍이 곡면 합착기 중국 수출에 사용한 법인 ‘파이’는 이미 청산했다. 파이도 이번 사건 피고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미동전자통신

2011년만 해도 마이스터와 미동전자는 협력사였다. 미동전자는 블랙박스 `BN100`제품을 만들고 마이스터가 여기에 만도 브랜드를 입혀 판매했다. 그러나 지난해 5월 양사가 신모델 공급가와 관련해 갈등을 빚으면서 거래가 중단됐다. 이후 마이스터는 새로운 블랙박스 제조사 모바일어플라이언스와 유통계약을 맺었다.

2013-11-25 차량용 블랙박스 전문기업 미동전자통신이 르노삼성자동차와 블랙박스 용품옵션 판매에 대한 공급 계약
-> 구매자가 옵션 가격으로 구매하는 것으로 판단됨.

거품이 많이 낀 주식임.14,600 -> 10,000 후반대가 정상

아이디스

15 19 IDIS Korea Video Surveillance $137.1 $131.5 4.2% – See more at: http://www.asmag.com/Rankings/security50_rankings.aspx#sthash.nS5JKnRz.dpuf

작년 10월 국내 아날로르 카메라업계 1위인 에치디프로㈜를 인수

실시한 IP제품 테스트 결과 잡지: http://www.benchmarkmagazine.com/issues/bmdec13.htm

2013-11-25 : 어린이집에 CCTV를 의무 설치해야 한다는 목소리
경북 ‘학교 CCTV’ 94% 얼굴 못 알아봐
서울대공원에서 발생한 호랑이 습격사고 현장에 CCTV가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 장기접근이 필요
19800원
2만원 넘으면 날리감.

코원

피타소프트, 코원시스템, 팅크웨어, 아이트로닉스, 삼보컴퓨터 등 5업체의 6개 제품이 번호판 식별성 등 주요 품질이 우수했다.002_1_2

AW2 : 기존 제품 생산으로 20일에 출시 하지 못했음.
2013111401001545800079101
코원의 오토캡슐AW2는 32G 용량 제품이 49만9000원, 64G 제품이 53만9000원으로 웬만한 내비게이션보다 값이 비싸다.

AW2 29일 시장 출시 예상.

올해 4/4 분기 부터 흑자로 돌아섬

2) 케미컬 사업

공정에서 사용하고 버려지는 폐액을 회수, 정제하여 재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고객에게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수급받고 있으며 당사의 효율적인 공정을 통해 공급 받은 제품으로 고객은 구매단가를 인하하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타사에서 쉽게 진입할 수 없는 상호 협력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Thinner의 사용 공정이 늘어 사용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체 Thinner 시장의 규모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 16라인 중 당사는 6개 라인에 Thinner를 공급 중에 있으며 점유율은 약 40% 정도입니다.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매출액(비율)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제품 MP3P, PMP,
차량용블랙박스
디지털 기기 iAUDIO
COWON
PLENUE
AUTO CAPSULE
17,040,405
(76.74%)
무선 인터넷 제품 콘텐츠 무선인터넷 콘텐츠 1,010,987
(4.55%)
케미컬 제품 Thinner Chemical 코원이노텍
(CST-9300)
4.154.218
(18.71%)
합                      계 22,205,610
(100%)

 

사업부문 성별 직 원 수 평 균
근속연수
연간급여
총 액
1인평균
급여액
비고
정규직 계약직 기 타 합 계
99 99 6.6 2,964,279 29,942
25 25 5.7 559,032 22,361
합 계 124 124 6.4 3,523,311 28,413

 

(주)신스타임즈 (정정)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실적 등에 대한 전망(공정공시)

목록
정정신고(보고)

정정일자 2017-01-20
1. 정정관련 공시서류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실적 등에 대한 전망(공정공시)
2. 정정관련 공시서류제출일 2016.07.11
3. 정정사유 2016년 영업실적 전망 정정
4. 정정사항
정정항목 정정전 정정후
매출액 430억(2016년)/1,026억(2017년) 294억(2016년)/1,026억(2017년)
2. 전망 또는 예측의 근거 2016년도와 2017년도 경영계획은 주요지표 예측치 및 경영환경을 감안하여 당사 내부기준에 따른 시장전망 및 사업분석을 근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사업부문별 매출

* 모바일 게임 사업부: 270억원(2016년)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업부: 160억원(2016년)

* 모바일 게임 사업부: 846억원(2017년)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업부: 180억원(2017년)

-예측의 근거
모바일 게임: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퍼블리싱 사업 전개(한국, 대만, 홍콩, 일본, 독일, 북미, 동남아 등)

2016년도와 2017년도 경영계획은 주요지표 예측치 및 경영환경을 감안하여 당사 내부기준에 따른 시장전망 및 사업분석을 근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사업부문별 매출

* 모바일 게임 사업부: 160억원(2016년)

매출 목표 대비 : 40.7% 미달성

– 매출 미달성 이유 :

국가별 게임출시 지연 및 일본시장에서의 부진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업부: 134억원(2016년)

매출 목표 대비 : 16.3% 미달성

* 모바일 게임 사업부: 846억원(2017년)

– 2017년 매출달성 전망 이유 :
신규게임 추가 출시 및 일본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전망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업부: 180억원(2017년)

※ 2016년 4분기까지의 경영실적 및 당사 내부기준에 따라 작성된 추정자료로 대내외 상황 및 여건에 따라 실제 결과치와 상이할 수 있습니다.

5.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1. 상기 자료는 K-IFRS 회계기준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의 추정치로, 당사의 최근 영업실적 및 시장환경/영업전망 등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며 해당내용에는 예측, 전망, 추정 등 불확실한 예측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상기 자료는 당사의 IR자료 및 보도자료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예측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실제 결과와 상이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상기 자료는 K-IFRS 회계기준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의 추정치로 2016년 4분기까지의 누적실적을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예상 추정치에 기반하여 투자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정보로서, 실제 실적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실적 등에 대한 전망(공정공시)
※ 동 정보는 예측정보로서 향후 실제 결과와는 다를 수 있음
1. 연결 영업실적 전망 내용
구분(단위 : 억원) 2016 사업연도 2017 사업연도 2018 사업연도
대상기간 시작일 2016-01-01 2017-01-01
종료일 2016-12-31 2017-12-31
매출액 294 1,026
영업이익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당기순이익
2. 전망 또는 예측의 근거 2016년도와 2017년도 경영계획은 주요지표 예측치 및 경영환경을 감안하여 당사 내부기준에 따른 시장전망 및 사업분석을 근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사업부문별 매출

* 모바일 게임 사업부: 160억원(2016년)

매출 목표 대비 : 40.7% 미달성

– 매출 미달성 이유 :

국가별 게임출시 지연 및 일본시장에서의 부진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업부: 134억원(2016년)

매출 목표 대비 : 16.3% 미달성

* 모바일 게임 사업부: 846억원(2017년)

– 2017년 매출달성 전망 이유 :

신규게임 추가 출시 및 일본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전망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업부: 180억원(2017년)

※ 2016년 4분기까지의 경영실적 및 당사 내부기준에 따라 작성된 추정자료로 대내외 상황 및 여건에 따라 실제 결과치와 상이할 수 있습니다.

3. 정보제공내역 정보제공자 (주)신스타임즈
정보제공대상자 국내외 투자자, 애널리스트 및 언론기관 등
정보제공(예정)일시 공정공시 이후
행사명(장소) 코스닥협회 강당
4. 연락처 공시책임자(전화번호) 김용욱 부사장 (02-6900-0000)
공시담당자(전화번호) 천영재 차장 (02-6900-0014)
관련부서(전화번호) 재무관리부 (02-6900-0014)
5.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1.상기 자료는 K-IFRS 회계기준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의 추정치로 2016년 4분기까지의 누적실적을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예상 추정치에 기반하여 투자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정보로서, 실제 실적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련공시 2016-07-11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실적 등에 대한 전망(공정공시)

코스모화학

2011.10 황산코발트 공장 준공(온산공장내)

이산화티타늄,부산물 제조,도매

테슬라 자동차는 내년 듀얼모터 4륜구동 전기차인 ‘X’를 출시할 계획
닛산은 보급형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GM은 소형차종 스파크의 전기자동차 버전을 캘리포니아에서 출시했으며 2위 업체 포드도 준중형 모델 포커스의 전기차 모델을 내놨다. 피아트-크라이슬러 역시 500e를 선보이며 전기차 시장에 발을 담갔다
독일 브랜드 BMW가 선보인 순수전기차 i3는 현재 도심 주행용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design

2차전지 성장의 최대 수혜주

2014년이 기대되는 종목

나. 요약 손익계산서

(단위 : 원)

과          목 제 46(당)기 분기 제 45(전)기 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Ⅰ.매출액 40,373,882,865 123,441,393,108 39,148,512,423 139,456,516,267
Ⅱ.매출원가 36,242,399,078 116,654,917,941 34,287,936,799 115,604,079,565
Ⅲ.매출총이익 4,131,483,787 6,786,475,167 4,860,575,624 23,852,436,702
Ⅳ.판매비와관리비 5,017,760,742 14,726,802,537 4,708,406,392 14,979,813,262
Ⅴ.영업이익(손실) (886,276,955) (7,940,327,370) 152,169,232 8,872,623,440
Ⅵ.금융수익 659,986,131 2,091,435,379 591,118,759 1,568,665,078
Ⅶ.금융비용 (2,927,911,435) (9,036,259,423) (3,138,526,603) (9,468,248,699)
Ⅷ.기타손익 515,549,019 24,452,551,515 1,822,224,155 (1,267,362,839)
Ⅸ.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638,653,240) 9,567,400,101 (573,014,457) (294,323,020)
Ⅹ.법인세비용 (60,278,128) 1,282,233,409
XI.분기순이익 (2,578,375,112) 8,285,166,692 (573,014,457) (294,323,020)
XII.주당손익
 1.기본주당순손익 (197) 634 (44) (23)
 2.희석주당순손익 (197) 634 (4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