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캐스퍼

광화문 현대해상 1층 전시
거리를 지나가는 흰 캐스퍼

엔진 CASPER Active

  • 카파 1.0 터보 엔진
  • 최대 토크 17.5kgf.m/1,500~4,000rpm
  • 복합연비 12.8kg/l (15인친 휠 기준)

에어백 – 7에어백 시스템

8인치 네비게이션(블루링크, 폰프로젝션, 현대 카페이) – 후방모니터

주택 종류

1. 단독주택 – 일반적인 의미는 한 가족을 위해 주어진 독립된 주택을 의미하지만 법령상으로는 분양이나 구분소유가 안되는 주택을 의미한다고 봐야하고 법령상 3가지(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가 있습니다.


2. 다가구주택 – 여러 가구가 사용하는 3층 이하의 주택입니다. 1층이 주차장인 피로티 구조인 경우 4층까지 가능합니다. 분양이나 구분소유가 안됩니다. 소유주는 건물 전체를 소유하고 각호수별로 주방과 화장실이 있어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합니다. 원룸주택은 다가구주택인 경우가 많습니다. 다가구주택도 법령상 단독주택에 해당됩니다.


3. 다세대주택 – 독립된 구조 공간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다가구와 유사하지만 각호수별로 소유권이 있다는 점에서 틀립니다. 즉, 구분소유와 분양이 가능합니다. 각호수별로 등기부가 있지만 모든 호수를 한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원룸주택도 다세대주택인 경우가 있습니다. 4층 이하이어야 하고 연면적이 660제곱미터 이하여야합니다. 흔히 말하는 빌라가 법령상 다세대주택이거나 연립주택입니다.

4. 연립주택 – 다세대주택과 동일하나 연면적이 660제곱미터를 초과한 경우입니다.


5. 아파트 – 연립주택과 동일하나 5층 이상이어야 합니다. 외관상 분명 연립주택 같은데 아파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이런 법령상의 조건 때문에 그렇습니다.


6.오피스텔 – 오피스와 호텔의 합성어입니다. 주거겸용 사무실이지만 근래 소형 평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주거목적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법적으로는 업무시설이지만 전입신고를 하고 주거목적으로 사용을 한다면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7. 아파텔 –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합성어로 법적으로는 결국은 오피스텔이지만 일반적으로 평수가 커서 별도의 방이 있고 평형대비 전용면적도 70%대입니다. 주거목적에 맞춘 중대형 오피스텔로 보시면 맞습니다.


8. 주상복합아파트 – 주거공간과 상업공간이 공존하는 주상복합 건물에 있는 아파트를 말합니다. 오피스텔과 달리 내부에 욕조와 발코니를 설치할 수 있고 법령상 아파트로 보아야하지만 대단지 아파트에 비해 단점이 많습니다.


9. 빌라트 – 빌라와 아파트의 합성어로 글자 그대로 아파트형 빌라를 말하는데 고급 빌라로 보시면 맞습니다. 현행 주택건설촉진법상 5층 이상의 주택은 아파트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빌라는 5층 이상으로는 지어질 수 없습니다. 연립주택은 현행법상 4층 이하로만 건축이 가능하므로 법령상 다세대이거나 연립주택인 빌라트도 5층 이상을 지을 수 없습니다.

PAST PARTICIPLE / 과거 분사

분사 : Part -(부분) + cap- (갖다) 에서 온말로 동사와 형용사의 두 가지 성질

PRESENT PERFECT (~ 현재)
= HAVE / HAS + MAIN VERB (PAST PARTICIPLE)

  1. have finished all my homework.
  2. She has gone to the store.
  3. We have lived here for three years.

PAST PERFECT ( ~과거)
= HAD + MAIN VERB (PAST PARTICIPLE)

  1. My husband had finished all the housework by the time I got home from work.
  2. When I called Laura last night, her husband told me she had gone out.
  3. had lived in 5 different cities before I turned 10 years old.

소유권 이전등기 /촉탁등기(단독행위)

  1. 신분증, 도장
  2. 주민등록등본
  3. 잔금 (수표/현금)
  4. 대금지급기한통지서
  5. 토지대장등본(대지권등록부), 건축물대장등본(표제부,전유부)
  6. 등기부등본 발급용
  7. 매각대금완납증명원+부동산 목록 각2부
  8. 부동산 목록 4부
  9. 말소한 목록 4부
  10. 취득세신고서
  11. 등록세신고서
  12. 소유이전등기촉탁신청서

참조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RdBvY3vDhvNDHdp1A0JqWP1NqVr9aodm

  1. (법원경매계)<-법원계장님께 대금지급 기한통지서 , 신분증 제시
  2. -> 잔금납부 명령서 , 법원보관금영수증(2부)
  1. (법원내은행)<- 법원보관청구서(사건번호와 인적사항) 작성, 납부 명령서, 잔금지금
  2. ->법원보관금 영수증2부(납부자용)
  3. -> 수입인지 500원짜리 1매 구매
  1. (법원 접수처에서 법원보관금 영수증(1부만), 매각대금 완납증명원서식2부 작성,부동산목록2부, 수입인지(매각대금완납증명원서식 1부에 부착)
  2. -> 경매담당 접수계-> (접수도장) 후 담당경매계장에게 가라고 한다.
  3. 담당경매계장<-완납증명 때문에 왔다 (서류전달)
  4. -> 매각대금완납증명원 도장찍어 1부를 준다.
  1. 시군구세무과<- 취득세, 등록세 신고서 (모르면 물어봄)
  2. ->취득세 납부 고지서, 등록세 납부 고지서,
  1. (법원내은행)<-등록세 납부고지서, 취득세납부고지서, *납부
  1. 증지구입 (이전등기비용 15,000원 , 말소증지비용 1건당 3,000원)
  1. 법원경매*접수계<- 소유권이전등기 촉탁신청서, 부동산표시목록, 등기부사항전부증명서제출용, 토지대장, 주민등록등본, 취득세영수증,등록세영수증,말소할 목록

갑구
1. 몇년 몇월 몇일 등기접수 몇호 압류 
을구
1. 몇년 몇월 몇일 등기접수 몇호 근저당권
이런식으로 순서대로 작성하셔서 4부 출력해서 미리 준비해서 가져가셔야 제출할 때 편해요~
– 말소촉탁 건들 –
저당권설정등기
가압류등기
가처분등기
국세체납처분에 의한 압류등기
경매신청기입등기입니다.
말소가 5건이면 15,000(3,000원×5)원 이라 기재하고 교육세 란에는 3,000(600원×5)원을 적으시고 세액합계란에는 18,000 원으로 기제 (확인필요)

  • 부동산의 표시
     부동산의 표시는 3가지가 명시됩니다.
    – 1동의 건물의 표시와 건물내역
    – 전유부분 건물의 표시
    –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표시
    이렇게 3가지의 형식에 맞게 A4용지에 작성하시면 됩니다.

흔히 경매정보업체들이나 대법원경매싸이트에 부동산의 표시가 첨부되어 있으니 프린트해서 사용하시면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갑구
1. 2001년 02월 03일 등기접수 제 11111호 압류 2. 2003년 10월 10일 등기접수 제 22222호 가압류

   국민주택채권
이것은 국세청 사이트 들어가면  제1종 국민주택채권 매입기준 이란 요율표가 있습니다. 구입한 주택의 시가에 맞게 요율대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구입해서 할인하면 큰돈 안 들어 갑니다.
영수증 발부해 줍니다. 이것이 국민주택채권 매입필증 입니다
참고- 그래도 모르겠다- 등기소가셔서 완납증명서 등기부등본 보여주고 국민주택채권 사야하는데 얼마를 사야 되냐?고 물어보면 알려줍니다.

   등록세 통지서 발급 /말소등록세 발급
물건지 관할구청에 가서 세무과 등록세과가 있습니다.
매각대금완납증명서보여주고 등록세 낼려고 한다라고 하면 직원이 고지서 발부해 줍니다.
이때, 등기부에 말소할 물건의 갯수를 파악하여 말소 등록세도 같이 발부해 달라고 하면 몇건이냐고 물어봅니다.
건수당 2,500원인가 그정도 합니다. 함께 발부 받으면 됩니다. 
은행에 납부하고 영수증 필요함.
참고 : https://ystraveldiary.tistory.com/144

치과 라미네이트 부작용

https://namu.wiki/w/%EB%9D%BC%EB%AF%B8%EB%84%A4%EC%9D%B4%ED%8A%B8

라미네이트는 흔히 급속교정으로 홍보되고 있는데, 실제로 긴 시간이 필요한 치아교정과 달리 단기간에 미백 및 교정효과를 볼 수 있다. 교정기가 필요 없이 우둘투둘한 치아를 갈아내고 치아팁을 붙이면 끝이기 때문. 하지만 애초부터 덧니마냥 삐뚤빼뚤 잘못 자란 치아는 약간 갈아내는 정도로는 소용이 없기 때문에 라미네이트로 교정할 수 없다.
치아 교정도 멀쩡한 이를 뽑아야 하거나 잇몸 퇴축, 치근 흡수등의 부작용이 있지만, 하술할 라미네이트의 부작용은 더 크다. 일반인에게 권장할 만한 시술[1]은 아니며, 방송인이나 모델들에게 ‘그나마’ 적합하다.
단 왜소치나, 선천적 법랑질형성 부전증이 있는 경우에는 치료의 목적으로 적합하다. 왜소치의 경우 레진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있지만 레진의 경우 탈락과 변색이라는 위험요소가 있다.
  • 한 개의 이에만 적용할 수 없음
라미네이트 기공물을 부착한 치아는 다른 치아들과 달리 티나게 하얀색이기 때문에, 원래 새하얀 이를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반드시 짝수로 맞춰서 해야 한다. 하지만 두 개만으로는 티가 날 수 있으니 네 개, 여섯 개 정도는 맞춰서 해야 하는 것. 여기서 하나가 문제여도 인근 치아를 모조리 갈아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게 부착한 기공물은 8~9년에 한번씩, 혹은 깨질 때마다 교체해야 하고, 그 때마다 돈이 드는 건 덤. 게다가 교체할 때 미세하게 치아가 더 갈려나간다.
  • 치아건강 악화
라미네이트는 생니를 갈아내고 기공물을 붙이는 시술이다. 치신경이 예민한 사람이거나, 치아 삭제가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엔 치아가 시리거나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처음엔 시린증상을 못 느끼다가도 나중에 교체가 이루어진 후에 겪을 수 있다. 교체시에도 치아를 미세하게 갈아내기 때문.
통증의 강도가 세지면 신경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신경치료는 엄밀히 말하자면 치료가 아닌 치신경 적출 시술이다. 치아 속의 신경을 제거해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 이렇게 치신경이 제거된 치아는 신체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하는 죽은 치아가 되는데, 강도가 약해질 뿐더러 푸석푸석해져서 쉽게 부서진다. 그런 이유로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는 크라운을 씌우는데,[2] 신경치료와 크라운을 하는 치아는 보통 너무 썩어서 신경까지 썩은 케이스이다.[3] 즉 멀쩡한 앞니를 스스로 왕창 썩은 치아로 만드는 셈. 단 하나의 이가 아파도 눈물이 나는데, 라미네이트는 최소 2개에서 최대 16개까지 손대는 시술이다.
또한 라미네이트 기공물의 강도 자체도 약하기 때문에 오징어나 쥐포, 고기를 뜯다 깨져나가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재개발 지역 도로

재건축의 경우 건축물 중 주택과 부속토지를 소유해야 하지만, 재개발의 경우 토지의 총면적이 90㎡ 이상일 경우 분양 대상이 된다.

이 물건의 최종 낙찰자는 13㎡짜리 물건(감정가 2천418만원)은 1억200만원을 써냈고, 89㎡짜리 물건(감정가 1억6천20만원)은 5억1천600만원을 써내 무사히 두 필지의 도로를 모두 낙찰받았다. 낙찰가율은 무려 335.2%였다.

광동생활건강

광동제약은 4일 “광동제약의 관계사인 광동생활건강의 모든 영업은 광동제약과는 무관하며 광동생활건강에서 직접 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동제약은 “일부 매체에서 업계와 소액주주 의견이라는 형식으로 광동생활건강에서 판매하는 제품이 사실상 광동제약에서 직접 소매 및 대리점 판매를 하고 있어 소액주주나 투자가들의 손실을 주고 있다고 보도한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또 광동생활건강에서 판매하는 일부 제품의 가격이 시중가보다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광동제약은“대형마트나 대리점 측의 상황이나 판매-마케팅 전략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가격폭리’로 일반화 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광동생활건강 매출은 2013년 89억원, 지난해 83억원으로 매년 수백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는 보도 역시 사실과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특별배각조건 있음(공유자의 우선매수권행사는 1회만 허용)

원칙적으로 공유자에게 우선매수권을 주되 예외적으로 행사를 제한한다는 의미입니다.
입찰기일 전에 우선매수신청을 하였는데 입찰기일 당일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아서 유찰된 경우에 다음 입찰기일에는 우선매수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특별매각조건이 붙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우선매수권행사제한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수원지방법원 2010타경35298, 2011타경 32043을 검색하여 보시면,

공유자우선매수신고 제한있음.(공유자 우선매수신청을 한 공유자는 매각기일 종결전까지 보증금을 제공하여야 유효하며 매수신청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회기일부터 우선권이 없음)

인천 2011타경34387 : 공유자의 우선매수신청권행사는 신고한 첫기일에만 유효하고,다음기일부터는 행사할 수 없음.

광주 2011타경 2102 :특별배각조건 있음(공유자의 우선매수권행사는 1회만 허용)

아래는 졸저 p. 75 내용입니다.

공유자의 우선매수권은 단지 공유자만의 이익을 위해서이며, 채권자와 채무자 등은 손해를 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신설된 민사집행법 제76조 2항의 입법취지와 관련하여, 공유자의 우선매수권 행사를 제한하고 매각기일 전의 공유자의 우선매수권 행사시 보증금제공을 의무화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상당수 법원에서는 시행하고 있다.
․공유자의 우선매수권 행사의 제한
다른 매수신고인이 없는 때에는 최저매각가격을 공유자의 최고가매수신고가격으로 본다는 규정은, 유찰로 인하여 가격을 저감시켜 새 매각기일을 정하는 것보다는 우선매수신청을 한 공유자에게 최저매각가격으로 매각하는 것이 가격의 하락과 경매절차의 지연을 막는 등 채권자나 채무자에게 유리함은 물론 법원의 업무 경감에도 이바지 한다.
따라서 공유자의 우선매수권을 제한없이 행사하도록 하는 것은 민사집행규칙 제76조 2항의 입법취지에 반할 뿐만 아니라 공유자가 이를 남용하여 매기일 우선매수신청을 하게 되면 일반 매수인들은 애써 최고가매수신고인이 되었다 하더라도 차순위로 전락하는 무용의 노력을 피하기 위하여 입찰을 꺼리게 되므로, 민사집행규칙 제76조 2항의 규정에 따라 우선매수를 신청한 공유자는 당해 입찰기일에 다른 매수신고인이 없더라도 당연히 그 기일의 최저매각가격을 최고가매수신고가격으로 보아 매수를 하여야 할 것이나, 만약 우선매수신청한 공유자가 매수보증금을 내지 아니 한 경우에는 민사집행규칙 제138조 4항의 규정을 유추 적용하여 다음 기일부터는 우선매수권행사를 할 수 없도록 함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단 매각허가결정이 없어 前경매절차의 매수인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공유자로서 우선매수신청은 할 수 없으나 일반입찰은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기일 전 공유자의 우선매수권 행사시 보증금제공의 의무화
매각기일에 참석이 곤란하여 기일 전에 우선매수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보증금을 제공하도록 제도를 보완함으로써 우선매수신청의 남용을 막아야 한다. 이는 공유자의 우선매수신청에는 최소한 최저매각가격 이상으로 매수하겠다는 의사표시가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고, 구법에서는 공유자가 우선매수신청을 하려고 하여도 최고가매수신고가격의 10%를 보증금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관계로 최고가매수신고인이 호명되기 전에는 보증금을 특정할 수 없었으나 현재는 보증금이 최저매각가격의 10%로 되어 있으므로 기일 전 매수신청에는 반드시 보증의 제공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추가 :

과반수지분권자의 일방적인 임대차계약과 소수지분권자의 지위
학원 경매강사를 하는 지인으로부터 질문받은 사안을 소개한다.
질문의 요지는, 甲이 2/3, 乙이 1/3 비율로 아파트 1채를 공유하던 중, 甲이 乙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丙에게 아파트를 임대하고서 보증금 1억원을 받아 수령했다면, 임대차계약에 동의하거나 관여하지 않은 乙도 丙에 대한 보증금반환의무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쉽게 생각하면, 乙 동의없이 甲이 일방적으로 한 임대차계약에 대해 乙이 보증금반환의무를 부담하는 것이 어색하지만, 필자의 지인은 민법 265조 “공유물의 관리에 관한 사항은 공유자의 지분의 과반수로써 결정한다”는 공유물의 관리행위를 염두에 두고 乙도 丙에 대한 임대차보증금 반환책임을 부담해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乙은 丙에 대해 보증금반환책임을 부담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공유물을 타인에게 임대하는 행위는, 공유물의 처분이나 변경에까지는 이르지 않을 정도로 이용, 개량하는 행위인 공유물의 “관리”행위임에는 틀림없다. 따라서, 타인에 대한 임대는 공유자 과반수로써 결정가능하기 때문에, 과반수 지분권자인 甲이 독자적으로 임대행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丙과 체결된 계약은 임대차계약으로서 유효하고 따라서 비록 乙이 임대차계약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임대차계약이 적법하게 유지되는 한 무단점유라는 이유로 乙은 丙에 대해 인도(명도)청구를 할 수 없고, 乙 임의로 계약을 해지할 수도 없다. 또한, 유효한 임대차계약이기 때문에 해당 아파트가 경매에 처해지면 丙이 적법한 임차인으로서 대항력, 우선변제권을 주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乙로서는 甲에 대하여 甲이 보증금수령으로 득한 이득에 대해 자신의 지분비율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는 있다.

★ 대법원 1991.9.24. 선고 88다카33855 판결 【부당이득금반환】
가. 부동산에 관하여 과반수 공유지분을 가진 자는 공유자 사이에 공유물의 관리방법에 관하여 협의가 미리 없었다 하더라도 공유물의 관리에 관한 사항을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공유토지에 관하여 과반수지분권을 가진 자가 그 공유토지의 특정된 한 부분을 배타적으로 사용수익할 것을 정하는 것은 공유물의 관리방법으로서 적법하다.
나. 위 항의 경우, 비록 그 특정된 한 부분이 자기의 지분비율에 상당하는 면적의 범위 내라 할지라도 다른 공유자들 중 지분은 있으나 사용수익은 전혀 하고 있지 아니함으로써 손해를 입고 있는 자에 대하여는 과반수 지분권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수익을 하고 있는 공유자는 그 자의 지분에 상응하는 부당이득을 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인 바 이는 모든 공유자는 공유물 전부를 지분의 비율로 사용수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대법원 1991.9.24. 선고 91다23639 판결 【전세보증금】
–원심은, 판시 부동산은 원ㆍ피고가 공동상속받아 원고가 6/7 지분을, 피고가 1/7 지분을 각 소유하고 있는 바, 피고가 원고의 동의없이 판시 부동산의 1,2층 부분을 소외 이00에게 보증금 2,000만원에, 지하실 부분을 소외 박00에게 보증금 800만원에 각 임대하여 보증금을 각 수령한 사실을 적법히 확정하고 있다.

위 사실관계 하에서 원심은, 원고의 주장 즉 피고가 원고의 동의없이 위 부동산을 타에 임대하여 위와 같이 임대차보증금을 수령하였으므로, 위 임대차보증금 중 원고의 지분비율에 상응하는 부분인 금 2,400만원(2,800 X 6/7)을 부당이득반환 또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으로서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점에 대하여, 위 부동산의 1/7 지분 소유자에 불과한 피고가 원고의 동의없이 위 부동산을 타에 임대하여 위와 같이 임대차보증금을 수령하였다면, 이로 인한 수익 중 피고의 지분을 초과하는 부분인 원고 공유지분에 대하여는 피고가 법률상 원인없이 취득한 부당이득이 되어 이를 반환할 의무가 있고, 또한 피고의 위 무단임대행위는 원고의 공유지분의 사용, 수익을 침해한 불법행위가 성립되어 피고는 그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설시한 다음, 다만 그 반환 또는 배상의 범위는 위 부동산의 임대차로 인한 차임상당액이라 할 것이므로 원고로서는 위 부동산의 차임상당액을 구함은 별론으로 하고 위 부동산의 임대차보증금 자체에 대한 원고의 지분비율 상당액의 반환 또는 배상을 구할 수는 없고, 달리 이 사건에서 원고가 차임상당액의 부당이득 또는 손해배상에 대한 주장, 입증을 하지 아니하고 있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배척하고 있는 바,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중략>– 피고가 받은 판시 전세보증금은 장차 입주자(임차인)에게 반환할 성질의 돈이어서 피고가 그 보증금 전액을 현실적으로 이득하고 있다 할 수도 없는 것이다.
또 소론은, 피고의 위 임대차계약은 공유지분 과반수의 동의없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무효이므로 위 임대차보증금 중 원고의 지분비율에 상응하는 위 금액을 부당이득 또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으로서 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나, 위 계약이 무효라는 점을 들어 임차인들에게 건물명도를 구함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이 사건에서 계약당사자가 아닌 원고가 공유자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공유지분에 해당하는 보증금액의 지급을 피고에게 구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논지는 이유 없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乙은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당사자는 아니고 임차인 丙에게 제3자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丙에 대해 임대차보증금반환의무를 부담하지는 않는다.

★ 대법원 1991.4.12. 선고 90다20220 판결 【손해배상(기)】
가. 공유토지 중 도로보다 높은 부분을 굴착하여 도로와 같은 높이로 정지하는 공사는 공유토지의 이용가치를 높이는 것으로서 공유물의 관리행위로 보아야 한다.
나. 공유토지의 과반수지분권자는 다른 공유자와 협의없이 단독으로 관리행위를 할 수가 있으며 그로 인한 관리비용은 공유자의 지분비율에 따라 부담할 의무가 있으나, 위와 같은 관리비용의 부담의무는 공유자의 내부관계에 있어서 부담을 정하는 것일 뿐, 제3자와의 관계는 당해 법률관계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과반수지분권자가 관리행위가 되는 정지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시공회사에 대하여 공사비용은 자신이 정산하기로 약정하였다면 그 공사비를 직접 부담해야 할 사람은 과반수지분권자만이라 할 것이고, 다만 그가 그 공사비를 지출하였다면 다른 공유자에게 그의 지분비율에 따른 공사비만을 상환청구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丙이 乙을 상대로 보증금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한다고 하더라도 丙의 청구는 기각될 수밖에 없다. 결국, 丙은 甲에 대해서만 보증금반환판결이라는 채무명의를 득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해당 아파트에 관해서는 甲 지분만을 경매에 부칠 수 있게 된다.
丙 아닌 타인이 아파트에 대해 신청한 경매에서는 丙이 적법한 임차인으로서 권리를 행사하고 배당받는 것과 비교하면 언뜻 불공평하다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공유물의 관리행위로서 임대차계약이 유효하다는 것과 임대차계약의 당사자라는 점과는 다른 문제라는 점에서 보자면, 논리적으로도 타당하다고 본다. -이상-